[정은상의 시니어 칼럼] 부정적인 말은 미래를 위협한다

2024.06.04 09:33

우리의 언어 선택은 큰 영향력을 가진다

 

[한국시니어신문] 우리의 삶에서 언어가 가지는 힘은 실로 대단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말은 단순히 의사소통의 도구에 그치지 않고, 우리의 감정, 생각, 그리고 행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부정적인 말은 마치 무딘 칼날처럼 우리의 삶을 서서히 잠식하며, 미래를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반면에, 긍정적인 말은 우리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는 등불과 같아서 어려운 상황에서도 우리를 이끌어주는 힘이 됩니다.

 

부정적인 말은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을 흔들리게 합니다. "나는 절대 이 일을 해낼 수 없을 거야"라고 반복해서 말하다 보면, 정작 도전의 기회가 왔을 때 두려움에 떨며 주저하게 됩니다. 세계적인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은 "천재는 1%의 영감과 99%의 노력으로 이루어진다"라고 말했지만, 부정적인 말로 가득 찬 사람은 애초에 노력할 엄두조차 내지 못하게 됩니다.

 

또한, 부정적인 말은 인간관계를 악화시키는 주범이기도 합니다. 가까운 사람에게 "넌 왜 항상 실수만 하는 거야?"라며 꾸중을 하면 상대방은 큰 상처를 받습니다. 작은 말 한마디가 쌓이고 쌓여 돌이킬 수 없는 갈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직장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동료나 부하 직원에 대한 부정적인 말은 팀워크와 업무 효율을 떨어뜨립니다.

 

부정적인 말은 정신건강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왜 하필 나에게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라며 자책하는 습관은 우울감을 키우고 스트레스를 가중시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우울증으로 고통받는 사람이 3억 명이 넘는다고 합니다. 부정적인 말의 습관이 이런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부정적인 말은 창의력을 억누릅니다. "그런 방법은 절대 안 돼"라는 말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시도해 보기도 전에 포기하게 만듭니다.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는 데서 나오는데, 부정적인 말은 그 기회를 차단합니다. 스티브 잡스는 "머리 좋은 사람들에게 뭘 하면 안 되는지 말하지 말고, 그들이 어떻게 하면 되는지 알아내도록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 해답은 긍정적인 말을 하는 것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해답은 긍정적인 말을 하는 것입니다. "할 수 있어, 해낼 수 있어"라는 말은 작은 용기를 북돋아 줍니다. 그 용기는 자신감으로 이어지고, 계속 도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됩니다. 농구선수 마이클 조던은 "당신은 스스로 생각하는 만큼 강해질 수 있다"라고 말했는데, 이는 긍정적 말의 힘을 잘 보여줍니다.

 

 

긍정적인 말은 대인관계 개선에도 도움이 됩니다. 상대방의 장점을 칭찬하고 격려하는 것은 그들에게 큰 힘이 됩니다. "당신 덕분에 힘이 난다"라는 한마디가 어려운 시기를 함께 헤쳐나갈 원동력이 되어줍니다. 긍정적인 말이 오가는 가정과 직장에서는 구성원 간 신뢰가 두터워지고 협력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집니다.

 

긍정적인 말은 스트레스와 우울감 극복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내일은 내일의 해가 뜬다"라는 말은 절망 속에서도 희망을 발견하게 해줍니다. 긍정적 말의 습관은 자기 암시처럼 작용하여 어려운 상황을 이겨낼 내적 힘을 키워줍니다. "생각하는 대로 이루어진다"라는 말처럼, 긍정적 말은 현실을 변화시키는 놀라운 힘이 있습니다.

 

우리의 언어 선택이 생각보다 큰 영향력을 가집니다. 무심코 내뱉은 말 한마디가 상대방의 인생을 바꾸기도 하고, 세상을 어둡게 만들기도 합니다. 부정적인 언어 습관에서 벗어나 긍정의 언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것이 우리 자신은 물론 사랑하는 이들의 삶까지 변화시키는 첫걸음입니다. 오늘부터 우리가 하는 말들을 돌아보는 것은 어떨까요? 그 작은 실천이 우리의 미래를 바꾸는 커다란 힘이 될 것입니다.

 

 

※ 외부 필자의 칼럼 및 기고 등은 한국시니어신문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한국시니어신문] news@kseniornews.com

정은상 맥아더스쿨 교장 news@kseniornews.com
Copyright @한국시니어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제호 : 한국시니어신문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충민로 66, 티-8015호 등록번호: 서울,아54193 | 등록일 : 2022-03-17 | 발행·편집인 : 김규민 | 전화번호 : 02-566-0922 Copyright @한국시니어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