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은상 맥아더스쿨 교장
[한국시니어신문] 중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평생 활용하며 살아가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배운 적이 없는 것은 시도조차 하지 않으려는 태도는 위험합니다. 현대 사회는 신기술과 새로운 개념이 끊임없이 등장하는 시대입니다. 따라서 과거의 배움을 유지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새로운 것을 익혀야 합니다.
배움을 멈추면 우리의 삶도 정체됩니다. 배우기를 멈춘 사람들은 대화의 범위가 좁아지고, 현재와 미래보다는 과거의 경험만을 반복하며 이야기를 이어갑니다. 이는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게 만들고, 결국 사회와의 단절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물론, 우리가 살아가면서 배웠던 지식과 경험은 여전히 가치가 있습니다. 한 번 몸에 밴 배움은 쉽게 사라지지 않으며, 이를 잘 활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새로운 것을 배우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합니다. 특히 시니어들에게는 이러한 자세가 더욱 중요합니다.
수년 전 타계한 이어령 전 교수는 85세가 넘어서도 배움을 게을리하지 않았으며, 105세의 김형석 명예교수는 매월 칼럼을 쓰고 강연을 하며 배우기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배움을 멈추지 않았기에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어떻게 배운 것을 잊고 다시 배울 수 있을까?
1. 기존의 지식을 의심하고 호기심을 갖고 질문하기
우리가 기존에 배운 내용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닙니다. 시대가 변하면 지식도 변합니다. 새로운 사실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먼저 기존의 지식을 의심하고 호기심을 갖고 질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종이 신문이 유일한 뉴스 매체였지만, 이제는 디지털 뉴스가 주류가 되었습니다. 역사적으로도 많은 학자와 철학자들이 기존의 통념을 깨뜨리며 새로운 지식을 창출해 왔습니다. 호기심을 갖고 질문하는 습관이야말로 끊임없는 배움의 출발점이 됩니다.
2. 새로운 도구와 기술 익히기
기술 발전 속도는 매우 빠릅니다. 불과 십수 년 전만 해도 스마트폰이 없어도 살아가는데 문제가 없었지만, 이제는 스마트폰이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습니다. 인공지능 기술 또한 급격히 발전하면서 챗봇을 이용한 글쓰기, 고객 상담 그리고 자동 번역 서비스 등이 보편화되었습니다.
시니어들도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온라인 강의를 듣거나, AI 도구를 이용해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전자결제 시스템을 익히면 금융 거래가 훨씬 편리해지고, 온라인 강의를 통해 지속적인 자기 계발도 가능합니다. 최신 기술을 익히는 것은 단순히 생활의 편리함 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을 읽고 적응하기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3. 젊은 세대와 교류하며 배우기
새로운 배움은 반드시 책이나 강의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젊은 세대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면서 자연스럽게 최신 흐름을 배울 수 있습니다.
손자나 손녀에게 인기 있는 SNS 사용법을 배우거나,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콘텐츠를 함께 시청하면서 새로운 트렌드를 접할 수 있습니다. 지역 커뮤니티나 동아리에 참여하여 젊은 세대와 직접 대화를 나누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SNS를 활용하여 젊은 세대와 소통하는 법을 배우면, 자연스럽게 최신 유행과 사회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고, 세대 간의 소통도 더욱 원활해질 수 있습니다. 젊은 세대의 문화와 사고방식을 이해하면 소통 능력도 향상되며, 시대 변화에 뒤처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4.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하기
새로운 것을 배우다 보면 시행착오를 겪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은 전구를 발명하기까지 수천 번의 실패를 경험했지만, 그는 이를 실패가 아니라 배움의 과정으로 여겼습니다. 세계적인 기업가 스티브 잡스 역시 애플에서 한때 쫓겨났지만, 그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성장하며 혁신적인 제품을 만들어냈습니다.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과정에서도 처음에는 실수가 많겠지만,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점점 유창해지는 것처럼, 배움도 연습과 도전을 통해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시니어들도 새로운 취미를 배우거나, 온라인에서 글을 써보는 등의 도전을 통해 끊임없이 성장할 수 있습니다.
배움이 지속되는 삶을 위하여
배움은 특정 나이에만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평생 동안 지속해야 하는 과정입니다. 기존의 배움을 의심하고, 새로운 기술을 익히며, 젊은 세대와 소통하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언제든지 다시 배우고 성장할 수 있습니다.
결국, 배움은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열쇠가 됩니다. 오늘부터라도 다시 배우는 습관을 실천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 외부 필자의 칼럼 및 기고 등은 한국시니어신문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한국시니어신문] news@ksenior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