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2 (토)

  • 맑음동두천 9.9℃
  • 맑음대관령 4.6℃
  • 구름조금백령도 10.1℃
  • 맑음북강릉 10.6℃
  • 맑음강릉 12.9℃
  • 맑음동해 11.7℃
  • 맑음서울 11.7℃
  • 맑음인천 11.7℃
  • 맑음수원 10.3℃
  • 맑음충주 7.6℃
  • 구름조금서산 9.9℃
  • 맑음청주 12.4℃
  • 맑음대전 10.5℃
  • 맑음추풍령 10.3℃
  • 맑음군산 10.5℃
  • 맑음대구 11.8℃
  • 맑음전주 11.0℃
  • 맑음울산 11.4℃
  • 맑음광주 11.8℃
  • 맑음부산 12.0℃
  • 맑음목포 11.8℃
  • 맑음여수 12.5℃
  • 맑음흑산도 11.0℃
  • 맑음완도 10.8℃
  • 맑음고창 10.1℃
  • 맑음순천 8.2℃
  • -진도(첨찰산) 30.2℃
  • 구름조금홍성(예) 9.7℃
  • 맑음제주 12.6℃
  • 맑음고산 12.6℃
  • 맑음성산 10.2℃
  • 구름조금서귀포 14.0℃
  • 구름조금강화 6.5℃
  • 맑음양평 10.2℃
  • 맑음이천 10.7℃
  • 맑음제천 6.6℃
  • 맑음보은 8.8℃
  • 맑음천안 10.3℃
  • 구름조금보령 9.7℃
  • 맑음부여 9.1℃
  • 맑음금산 8.6℃
  • 맑음부안 9.6℃
  • 맑음임실 8.0℃
  • 맑음정읍 10.2℃
  • 맑음남원 9.1℃
  • 맑음장수 5.7℃
  • 맑음고창군 8.4℃
  • 맑음영광군 9.6℃
  • 맑음김해시 11.4℃
  • 맑음순창군 9.1℃
  • 맑음보성군 9.0℃
  • 맑음강진군 9.5℃
  • 맑음장흥 9.0℃
  • 맑음해남 9.1℃
  • 맑음고흥 7.8℃
  • 맑음광양시 11.5℃
  • 맑음진도군 7.7℃
  • 맑음봉화 6.0℃
  • 맑음문경 9.1℃
  • 맑음구미 9.1℃
  • 맑음경주시 9.4℃
  • 맑음거창 9.2℃
  • 맑음거제 11.2℃
  • 맑음남해 9.8℃
기상청 제공

KAIST, 치매 등 비밀 밝힐 뇌 면역 유전자 규명

KAIST-IBS, 성인기 뇌 면역 반응 조절 별아교세포 게놈 3차 구조(DNA가 세포핵 안에서 접히고 배치된 3차원적 공간 구조) 유전자 세계 최초 규명
뇌 발달 시기의 유전자 조절이 성인기 뇌 면역 취약성에 장기적 영향을 미침 규명
알츠하이머병·다발성경화증 등 뇌 질환 원인 규명 및 치료 전략 개발 단서 제공
향후 성인·노인기 뇌 질환의 취약성 극복과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 기대

 

[한국시니어신문] KAIST(총장 이광형)는 생명과학과 정인경 교수와 기초과학연구원(원장 노도영, IBS) 혈관 연구단 정원석 부연구단장(겸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별아교세포(astrocyte) 발달 과정에서 특정 유전자가 성인기 뇌 면역 반응 조절에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쥐 모델을 활용해 뇌·척수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별아교세포의 발달 시기별 유전자 조절 프로그램을 정밀 분석한 결과, ‘NR3C1(Glucocorticoid Receptor)’ 유전자가 출생 직후 발달 단계에서 장기적 면역 반응 억제의 핵심 조절자임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최신 ‘3차원 후성유전체 분석 기술(DNA에 유전정보를 커짐·꺼짐분석 기술)’을 적용해 별아교세포 발달 과정에서의 전사체, 염색질 접근성, ‘3차원 게놈 상호작용(DNA가 공간 속에서 어떻게 접히고 서로 만나는지를 보는 기술)’을 통합 분석했다.

 

그 결과, 별아교세포가 자라나는 과정에서 55개의 중요한 유전자 조절 단백질(전사인자)을 찾아냈다. 그중에서도 NR3C1이라는 유전자가 아기 뇌가 처음 발달할 때 “가장 중요한 스위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흥미로운 점은, 이 유전자가 없다고 해서 어릴 때 뇌 발달이 크게 망가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성인이 된 뒤 뇌에 자가면역성 질환(몸의 면역체계가 자기 뇌를 공격하는 병)을 일으키면, NR3C1이 없는 경우 뇌가 과도하게 염증 반응을 일으키고 병이 훨씬 심해졌다.

 

즉, NR3C1은 아기 뇌에서 “면역 스위치를 미리 켜둘 준비를 하는 엔진 예열 버튼”인 ‘후성유전적 프라이밍 제어 역할을 하며, 이 덕분에 성인이 된 뒤 뇌가 과도한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 않도록 지켜준다는 것을 알아냈다.

 

정원석 IBS 부연구단장(KAIST 생명과학과 교수)은 “별아교세포의 면역 기능이 후성유전적 기억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처음 규명했다”며, “향후 알츠하이머병 등 퇴행성 뇌 질환의 원인 규명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KAIST 생명과학과 정인경 교수는 “이번 연구는 별아교세포 발달의 특정 시기(시간적 조절 창, window of susceptibility)가 성인기와 노인기 뇌 질환의 취약성을 좌우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며, “게놈 3차원 구조 기반 연구가 다발성경화증(MS) 등 면역성 뇌 질환의 새로운 발병 원리 이해와 치료 전략 개발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KAIST 생명과학과 박성완 박사와 박현지 박사과정 학생이 제 1저자로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IF 15.7) 9월 2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한편 이번 연구는 서경배과학재단,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BS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한국시니어신문 박철민 기자] parkiron@ksenior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