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2 (토)

  • 구름많음동두천 6.5℃
  • 구름많음대관령 1.0℃
  • 구름조금백령도 9.1℃
  • 구름많음북강릉 7.5℃
  • 구름조금강릉 12.6℃
  • 구름조금동해 9.5℃
  • 맑음서울 9.6℃
  • 맑음인천 11.5℃
  • 맑음수원 7.6℃
  • 구름많음충주 5.6℃
  • 맑음서산 6.4℃
  • 구름많음청주 10.2℃
  • 구름조금대전 8.3℃
  • 구름많음추풍령 4.4℃
  • 맑음군산 9.2℃
  • 맑음대구 8.0℃
  • 맑음전주 8.2℃
  • 맑음울산 8.9℃
  • 맑음광주 9.3℃
  • 맑음부산 11.2℃
  • 맑음목포 10.3℃
  • 맑음여수 10.8℃
  • 맑음흑산도 10.5℃
  • 맑음완도 8.9℃
  • 맑음고창 7.1℃
  • 맑음순천 4.5℃
  • -진도(첨찰산) 30.2℃
  • 구름조금홍성(예) 8.6℃
  • 맑음제주 10.8℃
  • 구름조금고산 11.9℃
  • 맑음성산 9.1℃
  • 맑음서귀포 12.5℃
  • 맑음강화 5.0℃
  • 구름많음양평 6.8℃
  • 구름조금이천 8.0℃
  • 구름많음제천 2.4℃
  • 구름많음보은 5.2℃
  • 구름조금천안 6.7℃
  • 구름조금보령 9.9℃
  • 구름조금부여 5.7℃
  • 구름많음금산 5.8℃
  • 맑음부안 7.4℃
  • 맑음임실 3.9℃
  • 맑음정읍 6.6℃
  • 맑음남원 5.8℃
  • 맑음장수 1.6℃
  • 맑음고창군 6.1℃
  • 맑음영광군 7.2℃
  • 맑음김해시 9.5℃
  • 맑음순창군 5.7℃
  • 맑음보성군 6.8℃
  • 맑음강진군 6.4℃
  • 맑음장흥 4.7℃
  • 맑음해남 4.7℃
  • 맑음고흥 5.0℃
  • 맑음광양시 10.0℃
  • 맑음진도군 4.9℃
  • 구름조금봉화 1.6℃
  • 구름많음문경 7.3℃
  • 맑음구미 7.3℃
  • 맑음경주시 5.9℃
  • 구름많음거창 6.0℃
  • 맑음거제 7.8℃
  • 맑음남해 8.3℃
기상청 제공

SMA 치료제 ‘뉴시너센’ 투여 일찍 시작하고 지속할수록 효과 좋아

강남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이영목·나지훈·이현주·신희진 연구팀 논문 발표
뉴시너센 투여 SMA 2,3형 환자 30명 대상 연구 결과 분석... 국내 단일기관 최초
이영목 교수 “치료 기간 길수록 운동기능 향상보인 환자 비율 높다는 점 주목해야”

 

[한국시니어신문] 희귀 유전성 질환 척수성 근위축증(SMA) 치료제인 뉴시너센의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국내 임상 결과가 발표됐다. 발병 초기에 투여할수록, 치료가 지속될수록 실질적인 운동기능 개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병원장 송영구) 연구팀(소아청소년과 이영목·나지훈·이현주 교수, 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신희진 임상강사)은 척수성 근위축증(Spinal muscular atrophy, 이하 SMA)을 진단받고 뉴시너센 치료를 진행한 국내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및 치료 경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척수성 근위축증은 척수의 운동신경세포가 점진적으로 퇴행하고 소실돼, 전신 근육이 점차 약화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이다. 생존 운동 뉴런인 SMN(Survival Motor Neuron) 단백질을 생산하는 SMN1 유전자의 결손이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출생 전부터 청소년기, 젊은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기에 발생하며 발병 시기와 운동 상태에 따라 1형에서 4형으로 분류된다. 연간 신생아 30만 명 기준 약 30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희귀질환으로, 발병 연령이 어릴수록 중증도가 높고 기대 수명도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뉴시너센은 SMN1의 백업 유전자인 SMN2와 결합해, SMN 단백질 생산량을 증가시켜 운동뉴런의 퇴행을 막는 원리의 치료제다. 1년에 3~4차례 척수강 내 주사를 통해 약물을 주입한다.

 

뉴시너센의 효능과 안전성에 대해서는 해외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으나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특히 SMA 환자에 흔히 동반되는 척추측만증, 그리고 호흡 보조가 필요한 중증 환자에 대한 연구는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팀은 2019년 3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약 3년간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뉴시너센 치료를 진행한 SMA 2형, 3형 환자 30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들은 평균 약 1.2세에 증상 발현이 시작되었으며 평균 치료 시작 연령은 22.9세였다. 1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들이 척추측만증을 동반하고 있었고, 이들의 73%는 척추측만증 수술력이 있었다. 절반이 넘는 환자들이 하루 중 일정 시간 호흡 보조 장치를 사용하고 있었다.

 

의료진은 14일 간격으로 뉴시너센 12mg을 총 3회 투여한 뒤, 30일 후에 한 차례 더 약물을 투여했다. 그 이후에는 유지용량을 4개월마다 투여하는 방식으로 치료를 진행했다. 이후 6개월, 14개월, 22개월, 26개월이 경과한 지점마다 운동기능을 HFMSE(Hammersmith Functional Motor Sacle-Expanded, 해머스미스 운동 기능 척도) 점수로 측정했다.

 

그 결과 6개월 추적 조사에서 환자의 72%가 HFMSE 점수의 개선(2.1점 증가)을 보였다. 14개월 추적 조사에서는 71%가 개선(2.88점 증가)을 보였으며 22개월과 26개월 경과 후 추적 조사에서는 각각 88%(4.21점 증가), 86%(5.29점 증가)가 운동기능 향상을 보였다. 부작용으로는 허리 통증, 두통, 감각 이상, 메스꺼움 등의 부작용이 동반됐으나 대부분 1~2일 이내 소실됐다.

 

본 연구의 교신저자인 이영목 교수는 “이번 연구는 중증 척추측만증 또는 기계적 호흡보조가 필요한 포괄적 환자군을 대상으로 뉴시너센의 효능 및 안전성을 확인한 국내 최초의 연구”라며 “치료 기간이 길수록 운동기능이 개선된 환자의 비율이 높아진 것에 주목해야 하며, 환자들의 운동 능력을 반영할 수 있는 보다 정확한 운동기능 평가방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Nusinersen for spinal muscular atrophy types II and III: a retrospective single‑center study in South Korea : 척수성 근위축증 2,3형 환자의 뉴시너센 치료에 대한 한국 단일기관 후향적 연구」라는 제목으로 국제 소아과 학술지 ‘World Journal of Pediatrics’에 게재됐다.

 

[한국시니어신문 강은서 기자] eunseo@ksenior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