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0 (목)

  • 맑음동두천 4.8℃
  • 맑음대관령 3.8℃
  • 맑음백령도 7.8℃
  • 맑음북강릉 10.7℃
  • 맑음강릉 11.7℃
  • 맑음동해 11.2℃
  • 맑음서울 7.0℃
  • 맑음인천 6.4℃
  • 맑음수원 7.0℃
  • 맑음충주 8.8℃
  • 맑음서산 7.6℃
  • 맑음청주 9.8℃
  • 구름조금대전 10.1℃
  • 구름조금추풍령 9.1℃
  • 맑음군산 10.6℃
  • 구름많음대구 11.7℃
  • 맑음전주 10.4℃
  • 구름많음울산 10.7℃
  • 맑음광주 10.5℃
  • 맑음부산 12.2℃
  • 구름조금목포 12.2℃
  • 구름조금여수 11.6℃
  • 구름많음흑산도 12.4℃
  • 맑음완도 11.5℃
  • 맑음고창 8.0℃
  • 구름조금순천 6.9℃
  • -진도(첨찰산) 30.2℃
  • 맑음홍성(예) 9.1℃
  • 구름많음제주 13.0℃
  • 구름조금고산 12.6℃
  • 맑음성산 10.4℃
  • 맑음서귀포 11.6℃
  • 맑음강화 5.1℃
  • 맑음양평 8.8℃
  • 맑음이천 7.9℃
  • 맑음제천 8.4℃
  • 맑음보은 9.5℃
  • 맑음천안 9.0℃
  • 맑음보령 8.7℃
  • 맑음부여 5.0℃
  • 맑음금산 9.9℃
  • 맑음부안 10.3℃
  • 맑음임실 5.8℃
  • 맑음정읍 9.0℃
  • 맑음남원 6.1℃
  • 구름많음장수 9.0℃
  • 맑음고창군 6.6℃
  • 맑음영광군 11.1℃
  • 맑음김해시 11.8℃
  • 맑음순창군 5.6℃
  • 구름많음보성군 10.7℃
  • 맑음강진군 10.9℃
  • 구름조금장흥 11.3℃
  • 맑음해남 8.9℃
  • 맑음고흥 11.3℃
  • 구름조금광양시 8.8℃
  • 구름많음진도군 12.6℃
  • 맑음봉화 8.7℃
  • 구름조금문경 10.1℃
  • 구름조금구미 11.1℃
  • 구름조금경주시 11.5℃
  • 구름조금거창 10.4℃
  • 맑음거제 11.8℃
  • 맑음남해 11.4℃
기상청 제공

POSTECH 연구진, 당뇨병 극복할 새로운 가능성 제시

압타머-수용체 복합체 구조 통해 인슐린 수용체의 기능적 선택성 밝혀

 

[한국시니어신문] 인슐린 수용체(Insulin receptor)는 체내의 혈당을 조절하는데 가장 중요한 막단백질이다. 췌장에서 분비된 인슐린은 근육, 지방, 간 등의 말단조직에 존재하는 인슐린 수용체에 결합하고, 활성화된 수용체는 세포신호전달을 통해 세포가 흡수하는 포도당의 양을 증가킨다.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혈당이 높은 상태로 장기간 유지되는 당뇨병에 걸리게 된다.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연구진이 인슐린 수용체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혀냄으로써 당뇨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POSTECH KIURI 연구단 윤나오 연구조교수, 생명과학과 조윤제 교수, 류성호 교수, 김준홍 박사로 이뤄진 연구팀이 두 종류의 압타머(Aptamer)를 인슐린 수용체에 각각 결합시켜, 인슐린 수용체의 구조적 상태를 고정하고, 이를 통해 수용체의 단계적인 구조 변화를 밝혀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IR-A62 압타머는 선택적 활성제(Biased agonist)로 인슐린 수용체의 인산화 및 대사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한다. IR-A62는 인슐린과 함께 혹은 단독으로 인슐린 수용체에 결합하며, 독특한 화살촉 구조와 기울어진 T-구조를 유도한다. IR-A43 압타머는 인슐린 활성의 증폭제(Enhancer)인데, 인슐린과 함께 수용체에 결합하여 Γ-구조를 안정적으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이 이들 구조를 비교한 결과, 인슐린 수용체의 선택적 기능 활성화가 어떤 구조적 변화 때문에 조절되는지를 밝혀냈다. 이는 인슐린 수용체가 단순히 인슐린 신호를 전달하는 온/오프 스위치가 아니라, 수용체의 구조적인 상태에 따라서 세포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정교한 조절자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다른 종류의 수용체 역시 비슷한 기작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며, 앞으로 수용체의 활성화를 조절하는 연구에 중요한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해 지금까지는 인슐린을 투여하는 방법이 가장 흔하지만, 투여량을 조절하는 게 여전히 쉽지는 않다. 인슐린은 치료유효량(Therapeutic index)이 매우 좁아서, 고용량이 투여되면 환자는 저혈당(Hypoglycemia)에 의한 두통, 오한, 의식저하, 심한 경우 실신에 이르게 되는 일도 있다.

 

연구팀이 인슐린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밝혀냄으로써, 인슐린 수용체의 대사 기능만을 선택할 수 있는 새로운 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인슐린 수용체의 대사 기능에 대한 편향활성제는 인슐린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어, 앞으로 다양한 연구를 통해서 지금까지와 다른 새로운 전략의 당뇨병 신약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혁신성장 선도 고급연구인재 성장지원(KIURI) 사업,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중견연구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한국시니어신문 김다은 기자] daeun@ksenior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