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04 (화)

  • 흐림동두천 -0.3℃
  • 흐림대관령 -4.1℃
  • 백령도 0.7℃
  • 북강릉 1.9℃
  • 흐림강릉 2.2℃
  • 흐림동해 1.2℃
  • 서울 1.1℃
  • 비 또는 눈인천 0.9℃
  • 수원 1.2℃
  • 흐림충주 ℃
  • 흐림서산 0.8℃
  • 청주 1.7℃
  • 대전 3.5℃
  • 흐림추풍령 0.6℃
  • 흐림군산 2.5℃
  • 대구 3.9℃
  • 전주 3.6℃
  • 울산 3.6℃
  • 광주 3.6℃
  • 부산 4.9℃
  • 목포 2.7℃
  • 여수 3.2℃
  • 흑산도 3.3℃
  • 흐림완도 3.9℃
  • 흐림고창 1.9℃
  • 흐림순천 3.9℃
  • -진도(첨찰산) 30.2℃
  • 홍성(예) 1.8℃
  • 제주 8.3℃
  • 흐림고산 10.3℃
  • 흐림성산 8.7℃
  • 서귀포 8.9℃
  • 흐림강화 0.3℃
  • 흐림양평 1.0℃
  • 흐림이천 1.2℃
  • 흐림제천 0.1℃
  • 흐림보은 2.1℃
  • 흐림천안 1.8℃
  • 흐림보령 3.7℃
  • 흐림부여 3.2℃
  • 흐림금산 2.7℃
  • 흐림부안 3.0℃
  • 흐림임실 2.9℃
  • 흐림정읍 2.8℃
  • 흐림남원 2.9℃
  • 흐림장수 1.5℃
  • 흐림고창군 2.4℃
  • 흐림영광군 2.2℃
  • 흐림김해시 3.9℃
  • 흐림순창군 3.3℃
  • 흐림보성군 4.8℃
  • 흐림강진군 ℃
  • 흐림장흥 4.6℃
  • 흐림해남 4.3℃
  • 흐림고흥 3.2℃
  • 흐림광양시 3.4℃
  • 흐림진도군 3.8℃
  • 흐림봉화 1.0℃
  • 흐림문경 1.2℃
  • 흐림구미 1.7℃
  • 흐림경주시 3.5℃
  • 흐림거창 1.4℃
  • 흐림거제 4.4℃
  • 흐림남해 2.7℃
기상청 제공

4060 신중년이 선택한 단백질 보충제는 ‘하이뮨’

하이뮨, 신중년이 섭취 중인 단백질 보충제 2년 연속 1위
가장 선호하는 단백질 보충제 제품 타입은 분말(파우더) 타입
신중년 보충제 구매 시 ‘제품의 효능’ 가장 고려한다고

 

[한국시니어신문] 시니어 소셜벤처 임팩트피플스(대표 신철호)가 4060 신중년의 단백질 보충제 이용 트렌드 조사를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

 

임팩트피플스는 에이풀(Aful)을 통해 2023년 4월 25일부터 5월 8일까지 40세 이상 남녀 313명을 대상으로 단백질 보충제 이용 트렌드 및 이용 행태 조사를 진행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FIS)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국내 단백질 식품 시장 규모는 2018년 813억원에서 2021년 3364억원으로 4배 이상 확대됐으며, 2022년 단백질 식품 시장 규모는 4000억원대에 이른 것으로 추산된다. 젊은 층부터 중년층까지 세대를 막론하고 단백질 보충 제품에 대한 관심은 쉽사리 꺼지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4060 신중년의 단백질 보충제 섭취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체 56.5%는 보충제를 ‘섭취 중’이라고 응답했다. ‘현재는 아니지만 섭취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34.8%로 나타났고, ‘섭취하지 않는다(경험이 없다)’는 응답은 8.6%로 나타났다. 즉 단백질 보충제를 섭취한 적 있는 이들은 전체 91.3%에 달한다.

 

해당 응답자들에게 현재 섭취하고 있는 단백질 보충제 브랜드는 무엇인지 물었다. 그 결과, 신중년이 가장 많이 섭취 중인 단백질 보충제는 ‘하이뮨(30.8%)’으로 2년 연속 1위에 올랐다. 이어 ‘셀렉스’가 25.5% 응답률을 보이며 지난해 조사 결과와 동일하게 2위를 차지했다. 3위는 ‘마이밀(10.5%)’이었다.

 

신중년에게 단백질 보충제를 어떤 계기로 섭취하게 됐는지 물었을 때, 전체 31.8%는 ‘운동하면서’ 섭취하게 됐다고 응답했다. 이어 ‘가족/지인에게 선물 받아서(27.3%)’, ‘근육 손실을 느껴서(24.8%)’ 단백질 보충제를 섭취하게 됐다는 이들도 일부 있었다.

 

4060 신중년이 단백질 보충제를 섭취할 때, 가장 선호하는 제품 타입에 대해 물었다. 그 결과 ‘분말(파우더)’ 항목이 54.9% 응답률을 보이며 과반수가 선호하는 제품타입으로 드러났다. 다음으로 4060 신중년은 ‘캡슐(16.4%)’, ‘드링크(12.6%)’, ‘알약(11.5%)’ 순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신중년이 선호하는 단백질 보충제의 주요 단백질 종류에 대해 물었을 때는 ‘식물성(51%)’ 제품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다음 ‘식물성+동물성(혼합)’ 항목이 32.9%, ‘동물성’ 항목이 16.1%의 응답률을 보였다.

 

단백질 보충제를 구매할 때 신중년이 가장 고려하는 것은 무엇인지 조사한 결과, ‘제품의 효능(58.4%)’을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제조사 인지도’를 고려한다는 응답이 18.9%로 조사됐다. 이어 ‘맛(9.8%)’, ‘가격(5.9%)’, ‘패키지 디자인(4.5%)’, ‘제품의 형태(2.4%)’를 고려한다고 응답했다.

 

4060 신중년에게 섭취하는 단백질 보충제에 대해 바라는 개선 사항을 물었다. 그 결과 ‘저렴한 가격’을 희망하는 응답이 39.2%로 가장 높았다. 이어 ‘다른 영양소 첨가’를 꼽은 응답이 23.4%를 차지했고, ‘다양한 포장’을 희망하는 응답은 22%로 나타났다.

 

한편 단백질 보충제를 섭취하지 않는 4060 신중년에게 단백질 보충의 필요성에 대해 물어본 결과, 27명 가운데 66.7%가 ‘단백질 보충의 필요를 느낀다’고 응답했다.

  

[한국시니어신문 강은서 기자] eunseo@ksenior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