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04 (화)

  • 흐림동두천 -0.5℃
  • 흐림대관령 -6.0℃
  • 흐림백령도 1.9℃
  • 흐림북강릉 0.9℃
  • 흐림강릉 1.6℃
  • 흐림동해 2.3℃
  • 흐림서울 1.3℃
  • 흐림인천 1.7℃
  • 구름많음수원 2.0℃
  • 흐림충주 1.2℃
  • 흐림서산 2.7℃
  • 흐림청주 3.0℃
  • 흐림대전 3.2℃
  • 흐림추풍령 0.7℃
  • 흐림군산 3.9℃
  • 대구 3.5℃
  • 전주 5.1℃
  • 울산 4.1℃
  • 광주 3.9℃
  • 부산 3.8℃
  • 흐림목포 4.6℃
  • 흐림여수 4.0℃
  • 흑산도 4.3℃
  • 흐림완도 4.6℃
  • 흐림고창 3.2℃
  • 흐림순천 3.2℃
  • -진도(첨찰산) 30.2℃
  • 흐림홍성(예) 3.1℃
  • 제주 7.6℃
  • 흐림고산 8.7℃
  • 흐림성산 8.3℃
  • 서귀포 7.8℃
  • 흐림강화 0.4℃
  • 흐림양평 1.9℃
  • 흐림이천 0.2℃
  • 흐림제천 -0.5℃
  • 흐림보은 1.7℃
  • 흐림천안 2.7℃
  • 흐림보령 4.2℃
  • 흐림부여 4.0℃
  • 흐림금산 2.9℃
  • 흐림부안 5.0℃
  • 흐림임실 3.6℃
  • 흐림정읍 4.1℃
  • 흐림남원 3.0℃
  • 흐림장수 1.2℃
  • 흐림고창군 4.0℃
  • 흐림영광군 4.0℃
  • 흐림김해시 3.1℃
  • 흐림순창군 3.5℃
  • 흐림보성군 4.7℃
  • 흐림강진군 4.6℃
  • 흐림장흥 4.9℃
  • 흐림해남 4.9℃
  • 흐림고흥 4.2℃
  • 흐림광양시 3.4℃
  • 흐림진도군 5.0℃
  • 흐림봉화 -0.6℃
  • 흐림문경 0.4℃
  • 흐림구미 2.9℃
  • 흐림경주시 3.8℃
  • 흐림거창 1.7℃
  • 흐림거제 4.6℃
  • 흐림남해 4.0℃
기상청 제공

담도암 액체 생검 진단 기술 개발

단 정확도 93%, 기존 검사의 1.3배
세포외소포에서 과발현하는 특정 단백질 타게팅

 

[한국시니어신문] 담도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액체 생검 기술이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방승민∙조중현 교수 연구팀은 하버드 의과대학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임형순 교수 연구팀과 함께 세포외소포를 활용해 담도암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액체 생검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에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IF 17.521)에 게재됐다.

 

담도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정확한 방법은 없다. 현재 조기진단을 위해 사용하는 표준 검사인 혈중 CA19-9 검사 진단율은 70%에 불과하다. 진단 시점에서 수술이 가능한 경우는 30% 정도로 낮고 불량한 예후로 이어진다. 담도암 5년 생존율은 30% 미만이다.

 

담도암 표준 확진법은 췌담도 내시경 검사에서 조직을 떼어내 검사를 시행하는 침습적 방법인데 진단율이 낮아 검사를 반복해야 하는 등 불편이 있다.

 

액체 생검 기술은 체액에서 종양 표지자를 검출해 암을 진단하는 비침습적 기술로 암 조기진단이나 조직검사로 확진이 어려운 암 분야에서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담도암 역시 액체 생검 연구 필요성은 높지만 특이 표지자가 없어 개발이 쉽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담도암이 의심되는 환자 담즙에서 특이적인 종양 표지자를 도출하고 담도암을 보다 정확하게 진단하는 액체 생검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

 

먼저 담도암에서 발생하는 종양 표지자를 알아보기 위해 정상 세포와 담도암 세포에서 추출한 세포외소포체를 비교했다. 암에서 유래한 세포외소포는 암세포를 대변하는 단백질과 핵산, 지질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액체 생검을 통한 암 진단에 있어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생체 물질이다.

 

연구팀은 담도암 유래 세포외소포에서 MUC1, EpCAM, EGFR 단백질의 발현이 높은 것을 밝혔고 세 단백질은 실제 환자 조직에서도 많이 발견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어서, 세포외소포에서 발현하는 단백질을 분석하기 위해 하버드 의대 연구팀이 개발한 FLEX(fluorescence-amplified extracellular vesicle sensing technology) 센서칩 기술을 활용했다.

 

FLEX 센서칩 기술은 정상세포와 암세포 유래 세포외소포가 섞여 있는 체액에서 암세포 세포외소포의 광학 신호만을 크게 증폭해 분석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기존 세포외소포 분석 기술은 수천~수만개 이상의 세포외소포가 존재할 때만 그 검출 신호를 얻을 수 있었지만 FLEX 센서칩 기술은 소량의 세포외소포만으로도 분석할 수 있다. 또 반도체 생산 기법을 사용해 대량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연구진은 환자 담즙에서 세포외소포를 추출한 후 FLEX 센서칩 기술을 사용해 세가지 표적 단백질의 발현을 분석했고 실제로 양성 질환 환자에 비해 담도암 환자의 담즙에서 표적 단백질이 더 높게 측정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에 개발한 액체 생검 진단 기술은 기존 진단법보다 높은 정확도를 자랑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액체 생검 진단 정확도는 93%로 동일한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혈액검사(69%)는 물론 췌담도 내시경 조직검사(71%)에 비해 우수했다.

 

조중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담도암 진단 표지자를 발굴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방법보다 높은 진단 정확도를 자랑하는 액체 생검 진단 기술을 하버드 의과대학과 개발할 수 있었다”며 “연구팀은 검사의 정확도를 검증하고 환자의 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더 많은 담도암 환자의 담즙과 혈액을 이용한 액체 생검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시니어신문 이도윤 기자] doyun@ksenior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