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6 (수)

  • 맑음동두천 3.3℃
  • 맑음대관령 0.9℃
  • 박무백령도 2.9℃
  • 맑음북강릉 5.2℃
  • 맑음강릉 7.2℃
  • 맑음동해 6.6℃
  • 맑음서울 6.3℃
  • 맑음인천 5.6℃
  • 맑음수원 4.7℃
  • 맑음충주 3.7℃
  • 맑음서산 2.6℃
  • 맑음청주 7.1℃
  • 맑음대전 6.3℃
  • 구름조금추풍령 5.5℃
  • 맑음군산 4.0℃
  • 맑음대구 9.4℃
  • 맑음전주 7.3℃
  • 맑음울산 12.0℃
  • 맑음광주 8.4℃
  • 맑음부산 12.9℃
  • 맑음목포 8.6℃
  • 맑음여수 10.6℃
  • 맑음흑산도 9.1℃
  • 맑음완도 8.4℃
  • 맑음고창 2.9℃
  • 맑음순천 4.6℃
  • -진도(첨찰산) 30.2℃
  • 맑음홍성(예) 2.9℃
  • 맑음제주 12.9℃
  • 맑음고산 11.1℃
  • 맑음성산 12.3℃
  • 박무서귀포 12.0℃
  • 맑음강화 4.4℃
  • 맑음양평 3.9℃
  • 맑음이천 2.7℃
  • 맑음제천 1.6℃
  • 맑음보은 2.4℃
  • 맑음천안 2.2℃
  • 맑음보령 4.9℃
  • 맑음부여 2.3℃
  • 맑음금산 2.5℃
  • 맑음부안 5.7℃
  • 맑음임실 1.5℃
  • 맑음정읍 4.2℃
  • 맑음남원 3.4℃
  • 맑음장수 0.0℃
  • 맑음고창군 5.3℃
  • 맑음영광군 4.3℃
  • 맑음김해시 10.9℃
  • 맑음순창군 2.5℃
  • 맑음보성군 4.9℃
  • 맑음강진군 6.0℃
  • 맑음장흥 4.8℃
  • 맑음해남 4.7℃
  • 맑음고흥 4.9℃
  • 맑음광양시 10.0℃
  • 맑음진도군 5.9℃
  • 구름조금봉화 1.4℃
  • 구름조금문경 6.3℃
  • 구름조금구미 5.6℃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창 3.8℃
  • 맑음거제 9.8℃
  • 맑음남해 9.2℃
기상청 제공

[정은상의 시니어칼럼] 성급하게 반응하지 말고 차분히 생각하기

정은상 맥아더스쿨 교장

 

[한국시니어신문] 성급하게 반응하는 것은 익숙한 습관일 수 있어요. 우리가 오랜 시간 동안 익힌 행동 방식 중에는 때로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필요했던 경우도 있었겠죠. 하지만 너무 빨리 말하거나 행동하면 실수를 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상대방의 말을 끝까지 듣지 않고 중간에 끼어들어 자신의 의견을 말하다 보면, 상대방의 의도를 오해하거나 잘못된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상대방은 자신의 의견이 무시당했다고 느껴 불쾌해할 수도 있죠. 이런 점에서 성급한 반응은 다른 사람에게 좋지 않은 인상을 줄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중요한 상황에서는 천천히 생각한 뒤에 반응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요. 이렇게 하면 대화가 더 신중하고 깊이 있게 이어질 수 있어요.

 

◇ 왜 천천히 생각하는 것이 중요한가요?

 

천천히 생각하면 실수를 줄일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입장을 더 잘 이해할 기회도 생겨요. 예를 들어, 가족 간의 갈등 상황에서 성급히 대응하면 서로 감정이 상할 수 있지만, 잠시 멈추고 상황을 차분히 분석하면 더 나은 대화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성급한 말이나 행동은 종종 오해를 불러일으키거나 불필요한 갈등을 만들 수 있어요. 반면에, 잠시 멈춰서 생각하면 대화의 흐름을 가다듬고 더 나은 답변을 할 수 있어요. 이는 단지 말하는 습관의 변화가 아니라, 관계를 더욱 긍정적으로 만드는 방법이기도 해요.

 

또한, 천천히 생각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놓쳤던 중요한 정보를 다시 떠올릴 수도 있습니다. 대화나 논의는 단순히 빨리 끝내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올바른 결론에 도달하는 것이 중요하죠. 이런 태도는 개인적인 대화뿐만 아니라, 직장이나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도 매우 유용합니다.

 

◇ 세 가지 실천 방법

 

1. 말을 끝까지 듣기

 

다른 사람의 말을 끝까지 듣고 이해하려고 노력하세요. 말 중간에 끼어들지 않고 상대방의 의견을 끝까지 들으면 그 사람도 존중받는다고 느낄 거예요. 또한, 말을 끝까지 들으면 상대방의 진짜 의도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생깁니다. 이 과정에서 듣는 태도 역시 중요해요. 고개를 끄덕이거나 적절한 반응을 보이면 상대방은 더 편안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습니다. 또한, 상대방이 하는 말에 간단히 질문을 던지는 것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 "그 부분을 조금 더 설명해 주시겠어요?"와 같은 말은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상대방은 자신의 생각이 존중받는다고 느끼고, 대화가 더 깊어질 수 있어요.

 

2. 대답 전에 생각할 시간 가지기

 

대답하기 전에 잠깐 시간을 두고 생각해 보세요. 즉각적으로 대답하려는 압박감에서 벗어나 잠시 숨을 고르고 생각할 시간을 가지세요. 이는 단순히 시간을 버는 것이 아니라, 더 나은 답변을 위해 뇌를 정리하는 과정이에요. 예를 들어, 질문을 받았을 때 "좋은 질문이네요. 잠시 생각해 볼게요"라고 말하면 자연스럽게 시간을 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상대방도 신중한 답변을 기대하며 기다릴 여유를 가질 수 있어요.

 

 

3. 공감하며 소통하기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며 공감하는 태도를 가져보세요. 공감은 단순히 말을 듣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상대방의 감정과 상황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의미해요. 예를 들어, 친구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을 때 "그런 상황에서 정말 힘들겠구나"라고 말하며 공감하면, 상대방은 자신이 이해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공감하려는 태도는 대화를 더 따뜻하고 협력적으로 만들어줍니다. 상대방이 처한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면, 문제 해결 방안도 더 현실적으로 제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공감을 표현하면 상대방과의 신뢰가 깊어지고, 더 나은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이 세 가지를 꾸준히 실천하면 실수를 줄이고, 더 좋은 소통을 할 수 있을 거예요. 대화는 단순히 말의 주고받음이 아니라,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과정이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천천히 생각하며 대화에 임하면, 더 나은 관계를 만들어갈 수 있을 거예요.

 

천천히 반응하는 것은 단지 대화의 기술을 넘어, 자신을 돌아보고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태도는 결국 자신의 삶을 더 긍정적이고 풍요롭게 만드는 중요한 습관이 될 것입니다. 꾸준히 연습하면서 천천히 생각하고, 성급한 반응에서 벗어나 보세요. 작은 변화가 모여 큰 성과를 이룰 수 있습니다. 이 변화가 당신과 주변 사람들에게 얼마나 큰 차이를 가져오는지 느끼게 될 거예요. 당신은 충분히 해낼 수 있습니다.

 

※ 외부 필자의 칼럼 및 기고 등은 한국시니어신문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한국시니어신문] news@ksenior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