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니어신문] 평준화(平準化, standardization)란 수준이 차이 나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평균에 맞추는 행위를 말하죠. 반면에 차별화(差別化, differentiation)는 둘 이상의 대상을 각각 등급이나 수준 따위의 차이를 두어 구별된 상태가 되게 하는 것입니다. 과거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산업화 시대에는 국가의 최고 지도자나 대기업의 총수가 앞장을 서고 나머지는 모두 평준화를 이루며 일사불란하게 그들을 따라가기만 해도 모두가 바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우리나라는 초고속 성장을 하게 되었던 거죠. 그런데 21세기에 와서는 어느 정도 국민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고도성장이 멈추고 이제는 평준화를 벗어나 차별화를 이뤄야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 어필할 수 있게 됐습니다. 그렇지만 지금의 6070세대 시니어들은 과거 고도성장과 평준화의 추억을 여전히 잊지 못하고 있습니다. 평준화라는 말 자체는 주로 교육 현장에서 많이 사용돼 왔습니다. 지금의 고교 평준화도 따지고 보면 6070세대의 시니어들이 국가 정책의 실무를 담당했던 시절에 시행했던 결과물입니다. 이후 최근에 와서야 교육 현장에서도 차별화에 대한 요구가
[한국시니어신문] 여러분의 성격은 어떤가요? 강한 성격인가요 아니면 부드러운 성격인가요? 지금은 공감의 시대입니다. 공감(共感)이란 남의 감정, 의견, 주장 따위에 대하여 자기도 그렇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과학 기술이 아무리 발달해도 인간은 이성보다는 감성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공감 능력은 절실하게 필요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부드러운 성격보다는 강한 성격을 가진 분들은 공감 능력을 가지기 어렵습니다. 매사 똑 부러지는 성격이라고 자부하는 분들은 특히 다른 사람들과 공감하기 어렵습니다. 기업에 오랫동안 몸담고 일을 했고 그중에서도 꽤 높은 지위에 올랐던 이들은 웬만한 사안에 대해 자신이 모든 지식과 경험을 갖고 있고 답까지 알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습니다. 어떤 이야기가 나와도 금세 자신의 판단으로 모든 것을 결정해 버립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옳음을 강요하거나 설득하려고 합니다. 그러면 공감이 더욱 어려워집니다. ◇ 두 부류의 사람 나이 들면 두 부류의 사람으로 나뉩니다. 성격이 점점 온순해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오히려 더욱 성격이 날카로워지며 공격적으로 변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차분하게 남의 말을 끝까지 듣
[한국시니어신문] 열정(熱情, passion)이란 어떤 일에 열렬한 애정을 가지고 열중하는 마음입니다. 용기(勇氣)는 씩씩하고 굳센 기운을 말합니다. 사무엘 울만은 청춘이란 인생의 어떤 한 시기가 아니라 마음가짐을 뜻한다고 했지요. 용기와 열정이 없으면 스무 살이라도 늙은이가 되고 반대로 머리를 높이 들고 희망을 품으면 여든 살이어도 늘 청춘이라고 시에 썼습니다. 이 시는 그가 78세 때 썼다고 합니다. 필자는 요즘 매주 월요일 오후에 양재노인종합복지관의 가곡교실에서 아름다운 가곡을 부르고 합창도 합니다. 친구 따라 호기심에 갔지만 이제는 생활의 일부가 됐습니다. 테너 최재웅 교수의 지도로 호흡법을 익히고 고음 발성법을 배웁니다. 어제는 모처럼 조영식 작사 김동진 작곡 목련화를 불렀는데 특히 고음 발성법을 배워서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대부분 6080대 연령이지만 가곡을 사랑하는 분들이 모여 한 시간 반 동안 목놓아 열창하고 나면 모두의 얼굴에 화색이 돕니다. 시작할 때 조용했던 분위기도 왁자지껄 소란스럽습니다. 용기와 열정은 우리를 들뜨게 합니다. 비록 젊을 때처럼 아름다운 목소리는 나지 않지만 용기와 열정은 그 누구보다 뜨겁습니다. 이에 더해 매주 수요일과
[한국시니어신문] 편안(便安)하다는 말은 편하고 걱정 없이 좋은 것입니다. 유의어로는 ‘무사’나 ‘안녕’이 있지요. 그런데 비슷한 뜻을 가진 평안(平安)이라는 단어도 있습니다. 평안은 걱정이나 탈이 없음 또는 무사히 잘 있음을 뜻합니다. 편안과 평안은 사전적 뜻은 유사하지만 의미가 다릅니다. 편안이 외부 환경이나 육체적인 것이라면 평안은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상태를 말하기 때문입니다.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듯 인간의 본성은 편안한 쪽으로 계속 가려고 합니다. 젊어서는 고생도 사서 한다지만 나이가 들면 이제 그런 과거의 힘들었던 기억을 잊어버리고 그저 편안하기만 바랍니다. 종종 친구들과 만나면 나이 들면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살았으면 좋겠다고들 합니다. 하지만 그건 우리의 의지만으로 되는 것은 아닙니다. 출생이 우리의 뜻대로 되지 않았듯이 노년의 건강도 우리가 어찌할 수 없습니다. ◇ 편안함의 유혹에 빠지다 백세 시대를 살면서 이제 겨우 예순이나 칠순을 넘기고 벌써 편안함이라는 유혹에 빠지는 분들이 꽤 많습니다. 만사가 귀찮으니 그저 하루하루를 편안하게 아무 일 없이 살아가기를 원합니다. 호기심도 없고 새로운 도전은 전혀 꿈도 꾸지 않습니다. 하루
[한국시니어신문] 경청(傾聽, listening attentively)은 상대의 말을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전달하고자 하는 말의 내용은 물론이며, 그 내면에 깔려있는 동기나 정서에 귀를 기울여 듣고 이해한 바를 상대방에게 피드백하는 것을 말합니다. 경청이 얼마나 중요한지 모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하지만 말하기와 듣기 습관은 아주 어려서부터 몸에 배어서 좀처럼 바뀌지 않습니다. 젊어서는 혈기 왕성하기 때문에 그렇다 치더라도 나이가 들면서 남의 말을 끝까지 들어주기가 왜 이렇게 어려울까요? 원만한 대인관계와 소통은 남의 말을 끝까지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참지 못하고 성급하게 남이 말을 하는 중간에 말을 잘라버리고 맙니다. 심지어 말이 장황하게 길어지면 결론부터 이야기하라고 조급하게 다그칩니다. ◇ 타인의 말을 가로채는 이유 나이가 들고 경륜이 쌓이면 인내심도 깊어져야 하지만 도무지 참지 못하고 남의 말을 가로채는 이유가 뭘까요? 우선 듣기 훈련이 되어 있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남을 말을 들을 때는 다른 생각을 하지 않고 오로지 듣기에만 집중해야 하는데 그런 훈련을 평생 해보지 않은 까닭입니다. 남의 말을 들으면서
[한국시니어신문] 오페라나 연극 등에서는 중간에 휴식 시간(intermission)이 있습니다. 인터미션이 끝나고 다시 무대가 열리면 새로운 무대 배경과 스토리가 전개됩니다. 거침없이 달려온 우리네 삶의 길에도 한 번쯤은 쉬어가는 브레이크 타임이 있습니다. 지금은 인생 다모작 시대입니다. 한 가지 직업으로는 백세 시대를 살아갈 수 없습니다. 지난 산업화 시대를 살아온 시니어들은 여전히 직업과 직장을 혼동하고 있습니다. 직장에 오랫동안 다녔다는 사실만으로 마치 그것이 자신의 직업인 것처럼 오해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곰곰이 생각해 보고 아직 직업을 가져본 적이 없다면 이제라도 새롭게 직업을 찾아내야 합니다. 나이 들어 새삼 무슨 직업을 찾느냐고 반문하겠지만 겨우 50대 후반이나 60대 초반에 직장에서 퇴직했다면 아직도 기회가 많이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 직업 한 가지만으로 살아가기 어려운 시대 다모작(多毛作, multiple cropping)은 같은 땅에서 1년에 종류가 다른 작물을 세 번 이상 심어 거두는 것을 말합니다. 시니어가 새로운 직업을 선택할 때 다모작을 염두에 두라고 필자가 강조하는 이유는 지금은 자신이 생각하는 직업 한 가지만으로 살아가기 어려
[한국시니어신문] 어른이란 사전적 의미로는 다 자란 사람 또는 다 자라서 자기 일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하지만 지식백과에서는 어른을 한 집단의 우두머리나 리더 역할을 하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오늘 칼럼에서는 지식백과에 나온 의미의 어른을 소재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지난 역사에는 시대마다 어른들이 있었습니다. 암묵적으로 모든 국민들은 어른들의 말과 글에 존경을 표하고 그들을 따랐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그런 어른들을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 마치 시대의 영웅을 지금 찾아보기 어려운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영웅과 어른이 사라져버린 시대에는 우리 시니어들이 어른으로서의 모범을 보여야 합니다. 무슨 대단한 일을 해서가 아니라 가정에서 사회에서 그리고 나아가 국가적으로 당연히 해야 할 말과 행동을 하자는 뜻입니다. 자신이 어른이 돼야겠다고 노력하면 어른이 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묵묵히 자신이 걸어가야 할 길을 걸어가면 다른 사람들이 어른으로 모시게 됩니다. 어른이 갖춰야 할 덕목은 인내심과 지혜입니다. 아주 작은 일에 흔들리지 않고 끝까지 참으며 심사숙고하는 태도가 그것입니다. 젊은이들에게 자원해서 충고하지 않고 조언을 요청할 때만 나서는 것입니다.
[한국시니어신문] 신조어(新造語)는 새로 생긴 말 또는 새로 귀화한 외래어를 말합니다. 은어(隱語, slang)는 어떤 계층이나 부류의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자기네 구성원들끼리만 사용하는 말입니다. 지금 우리는 신조어와 은어의 홍수 시대를 맞고 있습니다. 시시각각 새로운 신조어와 은어가 생겨납니다. 이하 글에서는 신조어와 은어를 묶어서 사용하겠습니다. 그런데 이런 신조어가 갑자기 유행한 것은 아닙니다. 시대마다 끊임없이 생겨나고 사라지지만 어떤 신조어는 생명력을 계속해서 유지하기도 합니다. 요즘 유행하는 몇 가지 신조어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급식체'는 10대의 은어 문체, ‘어쩔티비'는 “어쩌라고 가서 TV나 봐”, ‘아샷추’는 아이스티 샷 추가, ‘얼죽아’는 얼어 죽어도 아이스 아메리카노, ‘애빼시'는 애교 빼고 나면 시체, ‘소확행'은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별다줄' 별걸 다 줄인다 등등입니다. 문제는 이런 신조어를 시니어가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시대를 반영하는 신조어를 잘 이해하지 못한다고 한탄하거나 자괴감에 빠질 이유는 없습니다. 따지고 보면 시니어들의 젊은 시절에도 그런 신조어가 존재했었으니까요. ◇ 신조
[한국시니어신문] ‘주제넘다’는 말은 말이나 행동이 건방져 분수에 지나친 데가 있는 것을 말합니다. 유의어로는 건방지다 또는 당돌하다고 합니다. ‘주제’라는 단어는 변변하지 못한 몰골이나 몸치장을 의미하며 건방은 젠체하여 주제넘은 태도를 의미합니다. 어쭙잖은 장유유서(長幼有序)의 영향으로 인해 우리 사회에는 그저 나이가 많다는 이유만으로 젊은이들에게 무턱대고 충고를 하는 시니어들이 꽤 많습니다. 벼가 익을수록 고개를 숙이듯이 성숙하면 할수록 성급하게 충고하는 일이 줄어듭니다. 떠돌아다니는 뉴스나 정보를 주워담아 마치 자기가 경험하거나 깨달은 것처럼 태연하게 충고를 합니다. 나이가 계급인 양 자신보다 젊은이들은 누구나 충고를 들어야 한다는 태도를 보입니다. 그런 건 예전 산업화 시대에나 통했던 이야기입니다. 이제 더 이상 통하지 않습니다. 지식과 지혜가 부족할수록 인간은 자신을 감추기 위해 말을 더 많이 하려 듭니다. 말을 많이 하다 보면 자신의 말에 취해 점점 더 충고하는 태도나 스킬이 발전합니다. 자신을 정당화하기 위해 사실과 다른 이야기도 살을 덧붙이며 확장합니다. 이런 과정을 반복하면 주변의 젊은이들이 등을 돌리고 더 이상 충고를 들으려고 하지 않습니다
[한국시니어신문] 이미지 메이킹(image making)은 다른 사람이 어떤 대상을 보거나 생각할 때 갖게 되는 인상(人相)을 의도적으로 만들어 내는 일입니다. 포장에 따라 그 상품의 가치가 달라지듯이 외모를 가꾸는 일에 소홀하면 품격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특히 시니어는 더욱 이미지 메이킹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젊을 때는 젊음 그 자체로도 얼마든지 빛을 내지만 나이 들어 외모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자칫 상대방에게 좋지 않은 인상을 풍기게 됩니다. 몸을 자주 씻고 깨끗한 옷을 입는 것은 기본에 해당합니다. ◇ 중저가면서 이미지 메이킹에 도움되는 것 많아 이미지 메이킹을 위해 비싼 옷을 입고 액세서리로 치장해야 한다는 말은 물론 아니지요. 주위를 살펴보면 중저가이면서도 이미지 메이킹에 도움이 되는 것들이 많습니다. 그런 옷이나 장신구를 입거나 걸쳐도 얼마든지 맵시 있게 보일 수 있습니다. 인천 중구 토박이 사미연구소 이태승 대표는 최근 변신에 성공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되지 전까지는 별로 외모에 신경 쓰지 않은 듯 보였으나 G 대학 시니어 모델 과정에 입학한 후부터 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입는 옷은 물론 안경을 바꾸고
[한국시니어신문] 호통(Angry Scolding)이란 몹시 화가 나서 크게 소리 지르거나 꾸짖는 것을 말합니다. 호통은 화병을 가져옵니다. 호통은 사람들로부터 외면당하게 하는 나쁜 습관입니다. 화병이 커지면 정신병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인격 수양이 덜 된 사람은 호통을 자주 칩니다. 자기 뜻대로 뭔가 일이 되지 않을 때 호통을 치는 사람이 있습니다. 호통을 멀리하고 소통을 해야 더불어 살아갈 수 있습니다. 특히 남성 시니어 중에는 나이를 마치 계급인 것처럼 여기고 걸핏하면 나이를 들먹이며 젊은이들에게 호통을 칩니다. 산업화 시대였던 1980년대와 1990년대까지는 그런 호통을 치는 시니어나 직장 상사를 그저 불같은 성격 탓이라고 생각하고 넘어갔습니다. 하지만 지금 이 시대에 요즘 젊은이들에게 그렇게 호통을 치다가는 꼰대라는 소리를 듣고 따돌림당하고 맙니다. 그런 사람들과는 아예 대화하기를 거부합니다. 호통을 치는 이유는 딱 한 가지입니다. 자신이 정해 둔 기준에 맞추지 못하는 것을 참지 않고 상대방을 일방적으로 몰아붙이는 겁니다. 산업화 시대에는 경험을 많이 가진 사람이 최고였습니다. 나머지는 그 경험자에게 무조건 배워야 하기 때문에 지시에 복종해야
[한국시니어신문] 직업(職業, occupation)이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따라 일정한 기간 동안 계속해 종사하는 일’이라고 네이버 사전에 나와 있습니다. 네이버 오픈사전에는 ‘돈을 받고 하는 일’이 직업이라고 쓰여 있습니다. 이건 어디까지나 직업에 대한 사전적 의미이지만 잘못된 정의입니다. 네이버 사전에는 또한 직장(職場)은 ‘사람들이 일정한 직업을 가지고 일하는 곳’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생계를 꾸려 나갈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직업’이라고 나옵니다. 이런 직업에 대한 사전적 설명의 오류로 인해 우리는 일찌감치 직장과 직업을 혼동하고 지금까지 살아왔습니다. 직장이 있으면 그게 바로 직업이라는 착각을 하게 만들었던 겁니다. 직장은 직업이 아닙니다. 직업을 직장과 완전히 분리해서 생각해야 진정한 직업인이 됩니다. 이 시대는 직장인보다 직업인이 필요한 시대입니다. ◇ 평생직업을 찾아라 직업에도 한시적인 직업이 있고 평생직업이 있습니다. 공무원은 직업이지만 한시적입니다. 교수나 교사나 군인도 그렇습니다.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이 일하는 모든 직장인은 한시적으로 일을 합니다. 정년이 되거나 조기에 퇴직할 수도 있습니다. 시니어들이 대부분 일모
[한국시니어신문] 세대(世代, generation)란 공통의 체험을 기반으로 공통의 의식이나 풍속을 전개하는 일정 폭의 연령층을 말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에는 약 30년을 한 단위로 하는 연령층이라고 되어 있지만 지금 일부 학자들은 15년을 한 세대로 보기도 합니다. 아무튼 우리는 백세 시대를 살면서 동일한 나라 안에서 여러 세대가 함께 살아갑니다. 흔히 세대끼리는 너무 다르기 때문에 갈등이 많다고 말하지만 시니어들의 노력에 따라 얼마든지 세대를 뛰어넘어 서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 먼저 세대 간의 언어가 다름을 인정해야 합니다. 지역 간에도 언어가 다릅니다. 필자는 지난해 어느 토요일 제주 토박이 다섯 분과 함께 제주 올레 한 코스를 다섯 시간 걸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다섯 분은 모두 제주어를 사용하는 분들인데 함께 걸으면서 그분들이 나눴던 대화를 필자는 30%밖에 알아들을 수 없었습니다. 지난주 제주여행을 하면서 필자는 주로 서귀포 월드컵경기장 옆 세리월드에 숙소를 정하는데 토요일 이른 아침에 서울로 오는 비행기를 타기 위해 모처럼 제주터미널 근처 숨게스트하우스 공항점에 숙소를 예약했습니다. 마침 올레 축제 기간이라 지인들과 올레 12코스를 걷고 있는데
[한국시니어신문] 유연성(柔軟性, flexibility)이란 딱딱하지 아니하고 부드러운 성질을 말합니다. 인간의 몸은 부지런히 움직이며 활동하면 유연해집니다. 반면, 사용하지 않는 신체는 딱딱해지고 퇴화하게 됩니다. 나이가 들면 근육이 빠지면서 시나브로 유연성이 줄어듭니다. 몸의 건강을 위해 걷기나 달리기를 하고 헬스클럽에 가서 열심히 운동하는 이유는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남성들은 나이 들면서 유연성을 키워야 하고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근육을 늘려야 합니다. 유연성을 키우면 면역력도 함께 증가합니다. 88세 이시형 박사는 면역 키우기를 혁명에 비유했습니다. 그는 면역력을 키우기 위해 식사, 건강 체온, 숙면, 운동, 스트레스 관리, 복식 호흡, 자연 친화적인 삶 등을 강조했습니다. 이 모두를 동시에 해결하는 좋은 방법은 걷기 운동입니다. 필자는 2015년부터 시작해서 제주올레 26코스 425킬로미터(km)를 스탬프를 찍으며 공식적으로 세 바퀴 돌았습니다. 요즈음은 스탬프를 찍지 않고 지인들과 올레를 걷고 오름을 자주 오릅니다. 얼마 전 서해랑길이 열렸다고 합니다. 해남 땅끝마을에서 강화도까지 총 1,800km입니다. 내년부터 서해랑길 걷기에 도전할
[한국시니어신문] 태도(態度, attitude)란 어떤 일이나 상황 따위를 대하는 마음가짐이나 취하는 입장을 말합니다. 삶에 대한 태도는 세상과 주변에 있는 모든 사람들을 대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시니어의 삶에 대한 태도는 옳다 또는 그르다의 문제가 아닙니다. 어떤 태도를 취하는가는 오롯이 자신의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주니어(junior)는 매사 좌충우돌하며 과연 삶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 판단하기에 아직 이릅니다. 하지만 주니어에 비하면 시니어는 나름대로 삶에 대한 자신의 관점이 뚜렷합니다. 지금까지 쌓아온 많은 지식과 자신의 경험에 비춰 자신의 태도가 어떠한지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얼마든지 개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태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거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면 자칫 외골수로 빠져 남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버릴 수 있습니다. ◇ 어려서부터 배우고 익혀야 삶에 대한 태도가 얼마나 중요한지는 아주 어려서부터 배우고 익혀야 합니다. 필자는 5년째 매주 J학교 1학년을 지도하면서 태도가 얼마나 자신의 진로에 큰 영향을 주는지 절실히 깨닫도록 유도합니다. 태도의 기본은 다른 사람을 대하는 방식에서부터 출발합니다.